모던함이 가미된 스칸디나비안, 더 리버 자이 33py 홈스타일링
일산에 소재한 신축 아파트로 집에 대한 계약만 되어 있었어요. 집 오픈이 되지 않아서 첫 미팅 때 현장을 따로 볼 수 없었죠. 시기적으로 실제 집을 보려면 2주 정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첫 미팅을 고개님께서 거주하고 계신 댁에서 하고, 준비하신 자료로 미팅이 이뤄졌어요. 원하시는 스타일이 확고하시고 방향성도 뚜렷하셔서 이사 갈 아파트에 대한 도면과 사진, 원하는 디자인 스타일 등등.. 준비하신 레퍼런스가 꽤 많으셨어요. 아파트 사진을 보니, 전체적으로 벽과 바닥의 톤이 각각 차갑고 따듯한 톤으로 어우러지지 않았고, 요즘 젊은 취향과는 좀 맞지 않은 골드와 베이지 톤, 게다가 답답해 보이는 주방에 전체 조명까지 어두워 전체적으로 칙칙하고 오래된 아파트처럼 보였어요. 고객님은 이 부분을 거실과 주방에 대한 인테리어 시공과 전체적인 스타일링으로써 밝고 깨끗한 분위기로 바꾸고 싶어 하셨어요. 기존에 사용하던 큰 가구는 가져가실 예정이셨고, 친 동생 분이 몇 달 후에 같이 살 예정이어서 그 방에 대한 가구 배치, 아이 방과 침대에 대한 배치 부분, 부부 침실의 배치, 주방과 거실 등, 방을 제외한 공간은 인테리어를 하고, 그 위에 스타일링을 계획하셨습니다. 고객님이 원하시는 스타일은 요즘 많이 유행하는 스타일이었어요.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북유럽 스타일에 모던함이 가미된 미드센츄리 스타일의 가구와 조명으로 포인트를 주고 싶어 하셨죠. 고객님은 집이 편안한 휴식의 목적도 있지만, 와인 파티 같은 홈파티도 가끔씩 즐긴다고 하셨어요. 지인들 초대를 종종 하시기 때문에, 특히 주방과 거실의 변화를 중요하게 생각하셨습니다. 조도의 분포가 고르지 않았기 때문에 천장 조명 공사가 필수였어요. 모든 조명을 철거한 후 열이 많으신 남편 분을 위하여 실링팬을 설치하고, 주백색의 매입 조명으로 전체적인 분위기를 환하게 업 시켜주었어요. 밝고 따뜻한 톤의 벽지로 도배를 하고, 화이트 톤의 인테리어 필름으로 몰딩, 창호 프레임 등을 재시공하여 공간의 베이스 또한 밝고 깨끗하게 잡아주었지요. 거실 공간에서 가장 고민이 많았던 부분이 바로 아트월이었는데요. 웨딩홀 신부 대기실에 적용했던 커튼 스타일링이 떠올랐어요. 어찌나 반갑던지.. 거실의 커튼을 밝고 화사한 화이트 커튼으로 결정했는데 같은 커튼으로 아트월을 가렸죠. 고객님도 그 부분이 정말 신의 한 수였다고 하시며 매우 만족해하셨어요. 저도 얼마나 좋았는지 몰라요. 홈파티를 즐겨하는 고객님 라이프 스타일을 온전히 즐기기 위한 홈카페 디자인을 제안드렸어요. 기존의 장식장을 활용해 홈카페를 만들어 다이닝 공간과 함께 조명을 집중시켜 특별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죠. 또한 주방의 벽체와 싱크 하부장과 아일랜드 테이블의 톤 정리를 위해 벽체 타일 덧방 시공과 상부장을 과감히 철거하여 후드를 설치하는 제안을 드렸어요. 가구와 벽체 시공이 모두 들어가 있었으므로 예산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공간이 바로 주방이었죠. 예산을 맞추기 위해서 아파트 공구 업체를 활용하고, 주방의 홈바 장식장은 깨끗하게 화이트 도어로 교체하여 비용을 줄였어요. 홈바를 포기할 수 없었기에, 아일랜드 테이블 옆면의 벽체에 스타일리쉬한 철제 선반을 설치하여 느낌 있게 만들어 주었어요. 천정 조명 공사를 하면서 중요하게 여겼던 부분이 바로 조명의 배치와 연결 라인이었어요. 주방 내부와 홈바 다이닝 공간의 조명 스위치를 분리하여 다이닝 공간의 집중 조명으로 아늑한 분위기를 더했답니다. 부부 침실은 처음에는 부부의 침대와 서랍장으로 깔끔하게 스타일링 하였습니다. 아이 방과 동생분의 방은 레이아웃에 있어 여러모로 연결되어 있었어요. 아이 방의 커튼과 두 방에 놓을 가구와 배치를 제안드렸죠. 아이는 우선 부부 침실에서 함께 자고, 1-2년 후에 동생 분께서 나가시게 되면 그 후에 가구를 배치할 수 있는 방법까지도 방향을 잡아드렸어요. 동생분의 시기와 아이의 성장 시기가 맞아 떨어져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답니다. 디자인을 하면서 현재의 공간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될 상황을 예측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번 현장이 아마도 그랬던 것 같아요. 특히나 이번 현장은, 고객님께서 현재 원하시는 부분과 디자이너로써 앞으로 예측되는 부분 사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상당히 많았어요. 고객님께서 원하시는 디자인이나 제품이 판단이 잘 안 서는 부분들은 저와 함께 상의하며 진행을 해주셨기에 디테일이 더욱 살아나는 멋진 집으로 재탄생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