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드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별빛마을 청구현대 32py 홈스타일링
고객님은 직장에서 한번 인테리어를 맡겨본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일링과 공사에 대한 니즈가 확고한 편이었어요. 두 아이의 공간과 부부의 공간을 아름답게 만들고 효율적인 수납을 위해 많은 고민이 있었어요. 고객님께서 공간 하나하나 직접 손도면을 그려 원하시는 구성과 이미지를 보내주셨는데, 꼼꼼하게 정리해 주셔서 자료를 받아보고 정말 놀랐어요! 특히 현관 중문과 리딩누크가 있는 거실가구, 아이들을 위한 공간, 아내의 공간, 그리고 애정하는 스*벅스 그린이 포인트가 되는 공간을 만들고 싶어했어요. 첫 미팅때 우드는 쓰고 싶지 않다던 고객님은 제안서를 받아보고서 ‘아..제가 우드를 좋아하나봐요" 라며, 우드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조금 더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들어갔어요. 처음 고객님께서 스타일러를 현관에 배치하길 원하셨지만 현관이 워낙 협소해서 거실로 배치했어요. 리딩누크가 있는 책장에 쏙 넣어드렸죠. 신발장은 ㄱ자 형태로 제제작면서 가구의 폭을 최소사이즈로 조정하여 어른의 신발 아이의 신발을 구분해 수납하도록 했어요. 그리고 전면은 거울을 부착해 현관이 더 넓어 보이게하고 다른 한쪽은 아이들을 위한 벤치를 만들었어요. 벤치 뒷벽은 템바보드와 그린 선반을 포인트로 셋팅했어요. 중문 역시 그린컬러로 제작해 공간에 포인트가 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씰링팬, 홈바, 리딩누크 등등 여러가지 매력적인 요소들이 많은 공간이에요. 거실의 한쪽 면에 가구를 만들면서 제작하면서 현관에 배치하지 못했던 스타일러를 복도 쪽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전면 오픈선반에 우드컬러를 포인트로 사용했어요. 창가를 바라보게 소파를 배치하면서 부부의 공간과 아이들의 공간을 분리할 수 있게 됐어요. 큰아이는 소파를 넘나들며 장난을 치기도하고 아이들이 잠든 뒤 부부의 힐링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주방 역시 공간이 협소해 어떻게 가구를 제작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어요. 냉장고 위치부터 수납공간, 식탁위치까지 여러 방향으로 배치해보며 수많은 고민 끝에 만든 공간이에요. 거실과 주방을 아피형태의 게이트로 분리해줬어요. 게이트 옆으로는 수납장을 만들어 청소기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편에는 냉장고와 오븐 등을 수납가능하게 했어요. 거실이나 주방에서 보면 빌트인 가구이지만 사실은 가구를 앞뒤로 사용하면서 공간을 더 넓어보이게하고 수납력을 높였어요. 거실에서 바라볼 때 식탁 뒤로 터닝도어가 보이는 것이 싫었어요. 그래서 왼쪽 벽면부터 전면을 가구도어 소재로 마감하면서 깔끔한 공간이 되었어요. 주방가구는 하부장과 타일 줄눈을 핑크색으로 사용하면서 러블리한 공간으로 연출했어요. 냉장고장 옆 수납장은 거실에서 청소기를 수납하던 장이에요. 냉장고장과 깊이를 맞추면서 거실과 주방 양쪽에서 수납이 가능하도록 만들었어요. 거실에서 주방으로 들어갈 때 편안한 동선이 될 수 있도록 식탁 한쪽면이 라운드로 마감되어 있는 제품을 추천 드렸어요. 라운드 식탁에 아고라이팅의 모찌팬던트를 배치해서 편안하고 아늑한 공간을 만들었어요. 간단한 업무공간과 수면공간으로 분리하는게 첫번째 목표였어요. 그래서 침대가 들어갈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남겨두고 남은 공간으로 붙박이장과 화장대, 책상을 배치했어요. 그런 과정에서 기존 창문을 반창으로 변경하면서 파티션을 만들고 공간에 안정감을 주었어요. 파티션은 침대의 헤드보드 역할을 하면서 화장대와 같이 템바보드로 포인트를 줬어요. 첫째 아이방은 아치 파티션을 사용해 침실공간과 놀이공간을 구분했어요. 발코니확장을 하면서 공간분리를 하고 싶었는데 기성 파티션을 사용하면서 목공비용을 줄이고 나중에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가구들을 활용한 공간이에요. 첫째아이의 방과 마찬가지로 발코니를 확장한 공간이에요. 아직 돌이 지나지않은 둘째 아이를 위한 방에는 ㄱ자 코너 수납장을 배치해서 장난감이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했어요. 고정된 가구가 없어서 아이가 커가면서 많은 변화가 생길 공간이에요. 고객님이 인테리어에 아주 적극적이어서 즐거운 현장이었어요. 주방가구 구성과 거실 책장 디자인을 다양하게 제안하고 고객님과 하나하나 협의하며 만든 공간이라 저도 정이 많이 가는 현장이에요. 집에 방문하는 사람마다 예쁘다고 얘기해준다고 말씀하실 때 저도 많이 뿌듯했어요.